<p></p><br /><br />일주일 전 경기 안산에서 붉은불개미 수천 마리가 또 발견됐죠. <br> <br>벌써 8번째라 불안감이 커지고 있는데요. <br> <br>붉은 불개미가 정말로 위험한지, 얼마나 퍼졌는지 심층 취재했습니다. <br> <br>이은후 기자의 더깊은뉴스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김혜림 / 인천 서구] <br>"살인개미라고 불릴 만큼 진짜 위험하다고 하니까 겁부터 먹게 되는 거 같아요." <br> <br>[박완규 / 인천 서구] <br>"쏘이면 독이 있어서 퍼진다는 말이 있어서요. 약도 없다고 하는 이야기를 들었거든요." <br> <br>우리는 붉은불개미에 대해 과연 얼마나 알고 있을까. <br><br>미국에서 5백 마리의 살아있는 붉은불개미를 데려와 조사 중인 검역본부입니다. <br> <br>알려진 것보다 독성이 강하지 않다는 말에 직접 쏘여보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(많이 아파요?) 따끔. 앗 뜨거. 이 정도." <br><br>위협을 느꼈는지 기자를 쏘지 못하는 붉은불개미 한 마리. 다섯 마리를 같이 올려놓자 세 마리가 침을 쏩니다. <br><br>[현장음] <br>"쐈다. (아야아야아야. 으. 떼주세요.)" <br><br>통증과 독성은 우리나라에 흔한 땅벌의 60% 수준. 70년 동안 미국에서 80명이 사망했다는 통계도 부풀려진 것입니다. <br><br>유입경로로 의심받는 중국을 포함해 아시아에서는 사망자가 없었습니다. <br> <br>안산에서 발견돼 죽은 채로 보관 중인 붉은불개미 5천 마리. <br> <br>[김태우 /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사] <br>"물건 내리는 과정에서 개미가 바글바글한데 한 덩어리로 땅에 툭 떨어졌다는 거죠." <br><br>현미경으로 확대해보니 턱과 뱃자루에서 다른 개미와 구별되는 특징이 보입니다. <br> <br>꼬리부분에 얇고 가는 독침이 달려 있습니다. <br><br>정부는 항구에서부터 이 개미들을 원천 차단하려고 하지만 쉬운 일은 아닙니다. 물동량을 전수 검역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안산과 평택에서는 번식능력이 있는 여왕개미를 끝내 발견하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날개달린 공주개미가 결혼비행 후 여왕개미가 돼 번식하기도 합니다. <br> <br>[김태우 /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사] <br>"집단의 생존을 위해서 여왕이 중요하기 때문에 위협을 느끼면 여왕을 제일 먼저 피신을 시켰을 거란 말이죠." <br><br>10년 전부터 붉은불개미의 습격을 경고했던 개미박사 김병진 교수. <br> <br>[김병진 / 원광대 생명과학부 명예교수 ] <br>"(미국은) 도로, 농작물, 밭, 골프장, 숲까지 다 점령당했어요. 많은 배가 다니면서 무역을 하는데 혹시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가진 않을까." <br> <br>학계와 전문가들의 습격예고에도 정부차원의 방비책은 나오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[김병진 / 원광대 생명과학부 명예교수] <br>"발견하지 못하고 있다고 해서 불개미가 없어진 건 아닙니다. 동면하고 있기 때문에 찾으려고 해도 찾을 수가 없는 거예요." <br> <br>외래종이 우리나라의 기후에 어떻게 반응하는지, 또 어떤 피해를 끼칠지에 대한 기초조사가 가장 중요하지만 이뤄지지 않은 겁니다, <br> <br>[이강운 /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장(곤충학자)] <br>"외래종에 대한 조사 그 다음에 등급을 지정하는 프로젝트를 우리(정부)가 다 하기로 돼 있어요. 시스템을 다 갖추고 있는데 지금 가동을 하고 있지 않은 거예요." <br> <br>지난해 붉은불개미 유입이 확인됐지만 정부는 올해서야 기초조사에 착수했습니다. <br> <br>15년 전 유입된 외래종 '등검은말벌'은 토종 꿀벌을 초토화시켰고, 큰입배스, 황소개구리, 뉴트리아의 습격은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큰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은후입니다. <br> <br>연출 천종석 <br>구성 고정화 이소희 <br>그래픽 전유근